분류 전체보기 (65) 썸네일형 리스트형 통신 : Polling, Long Polling, Streaming , Websocket , SSE 📌 통신클라이언트에서는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게 된다.통신방식은 크게 Http 통신과 Socket 통신 2가지 방식이 있다.http 통신은 Client가 요청을 보내는 경우에만 Server가 응답하는 단방향적 통신으로, Server가 Client에 요청을 보낼 수는 없다.때문에 요청시 내용을 기다리는 시간 + 연결하는 시간이 들어가게 된다.다음번 요청에서는 다시 연결을 해야됨그래서 Http 통신은 실시간 연결이 아닌, 필요한 경우에만 Server로 접근할때 용이Web Socket 기술이 나타나기 전에는 실시간 통신을 위해서 Http통신에 약간의 트릭을 사용해서 실시간인 것 처럼 작동하게 하는 기술을 만들었다.실시간 트릭 기술: Polling / Long Polling / Streaming Po.. 웹 기본 + nginx https://blog.naver.com/gi_balja/223028077537이블로그 좋은듯 ?Nginx : 웹 서버Apache(아파치) 같은 웹 서버에 비해 빠르고 가벼움,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적합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Client)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을 보내는 주체. ex) 웹 브라우저웹 개발 영역에서 보통 클라이언트라 하면 크롬, 사파리, 익스플로러 등 웹 브라우저를 의미웹 서버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HTML, CSS, JS, 이미지 파일과 같은 정적 파일을 응답하여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웹 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통신대표적인 웹 서버로는 Nginx, Apache 등프론트 서버라고 생각WAS (Web Application Serv.. MediaType MediaType MediaType은 HTTP 요청/응답의 콘텐츠 타입(Content-Type) 을 나타내는 상수 클래스application/json, text/html 같은 MIME 타입을 문자열 대신 상수로 정의해둔 것 org.springframework.http.MediaType 에 정의돼있음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사용 s3 권한설정 S3 권한 설정 1. public access 2. iam3. acl4. 버킷정책 Public Access퍼블릭 액세스 권한은 말 그대로 모두에게 액세스 권한을 오픈할 것인지 아니면 임의의 사용자에게는 접근 권한을 제한할 것인지 설정하는 것이다. iam iam 정책으로 해당 계정이 s3 에 접근 가능한지, 접근해서 무슨일을 할지 설정이 가능하다. root 계정이라면 owner 세팅임으로 iam 설정은 해 줄 필요 없다. root 가 설정한 그룹에 묶여있는 계정이라면 root이나 권한이 있는 계정 에서 설정된 세팅대로만 s3 에 접근이 가능하다. ( 내 그룹안에 있는 계정만 설정 가능, 외부 계정은 따로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 * 실무에서는 root 계정에서는 세팅만 하고 접근하지 말자 .. .. 마이크로 서비스 개요 마이크로 서비스 개요마이크로 서비스란? 하나의 sw 에 대해 개별적으로 배포 일정을 가지고 업데이트 운영이 가능한 작고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즉, 프로젝트의 주요 기능을 위해 서로 협업하는 작은 서비스들로 구성된 분산 프로그램을 말한다. *다른 마이크로서비스와 별개로 업데이트 가능 ( 독립적 개발 )*필요에 따라 외부에 노출하거나 외부 접근 불허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가 많은 기능을 가지지 않음*각각의 서비스는 격리된 독립적인 프로세스다. *단위 서비스는 서로 느슨하게 연결되며 하나의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단위 서비스는 자신만의 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모놀리스의 문제점전체적인 앱이 단일 프로세스로 동작한다. 작은 규모의 실험적 모델에 적합하지만 규모가 커지다 보면 실험적.. 스프링부트 서블릿,톰캣,필터 기본개념 웹서버 기본 Web Server 웹 서버HTTP 요청을 받아 Static contents를 제공하는 서버, 프로그램 WAS (Web Application Server)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다양한 서버 내 알고리즘, 비즈니스 로직, DB 조회 등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프로그램 톰캣이란?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서블릿이 이를 처리해야 한다. 이때 서블릿은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관리된다. 스프링부트에서는 톰캣이 서블릿 컨테이너의 역할과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역할을 담당한다. 즉 톰캣이란 서블릿 컨테이너 + was(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가 합쳐진 것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체적으로 웹 서버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대신, 서블릿 컨테이너.. 기본적인 배포 과정 배포 ec2 = 단순 컴퓨터ecs = 컴퓨터로 컨테이너 띄울수 있게 제공 eks = 쿠버네티스 백엔드 : 깃엑션으로 main 에 이벤트 일어나면 -> 깃엑션에서 (내부컴퓨터) build -> docker image 말기 -> ecr(docker hub 같은거 aws 에서 제공) -> ecs 에 올려서 띄움 프론트엔드 : 리엑트 s3에 띄우기 -> cdn 으로 요청 응답 과정 : www.~~~ 프론트 로 접속 -> rout53 에서 도메인 처리 (ex 경로따라 프론트로갈지 백엔드로 갈지 ) -> cdn 에서 https 를 http 로 바꿔줌 -> s3 에서 정적자원 가져옴 -> api ~ 백엔드로 요청 -> rout53 이경우 백엔드로 라우팅 -> alb 로 https -> http .. 도덕적인 AI 들어가기전 얼마전 개발자들과 함께하는 독서모임을 가지게 되었다. 해당 모임에서 선정한 이번달의 책은 " 도덕적인 AI "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AI 시대를 바탕으로 기술적, 도덕적 측면에서 AI 의 위험성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담은 책이다. 데이터과학자 , 철학자, 컴퓨터 과학자인 세명의 저자가 모여 집필한 책이며 무의식적으로 제공했던 개인정보에 대한 위험성 측면에서도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준 책이었다. (물론 ,, 매우 이과가 쓴 책 같았지만 ,,, 정보제공 이라는 부분 에서는 다량을 정보를 품고 있으니,, 별 3 개 정도를 줄 수 있을 것 같다) 요약기억을 위해 남기는 독후감임으로 꽤나 꼼꼼히 써보려 한다. 서론 "무엇이 문제인가" 에서 필자는 AI 가 초래하는 문제점과 장점을 사례와 .. 이전 1 2 3 4 ··· 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