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레지스트리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레지스트리를 통해 다른사람과 이미지 공유 및 필요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대표정인 레지스트리 ? 도커 허브
도커 허브를 통해 이미지 공유, 검색, 버전관리, 보안, 파이프라인(이미지 업로드시 자동 배포)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저장 경로
- 호스트 머신의 로컬 스토리지 - 이미지 실행하면 먼저 여기 이미지 있는지 검색 없으면 외부 레지스트리에서 이미지 다운받음
- 퍼블릭 레지스트리 - 모든 네트워크에서만 접근 가능 ex) docker
- 프라이빗 레지스트리 - 특정 네트워크에서만 접근 가능 (사내망같이)
이미지 네이밍 규칙
레지스트리주소/프로젝트명/이미지명: 이미지태그
레지스트리 주소 : 어느 레지스트리에서 받아올건지 결정
*도커 사용시 기본 레지스트리 주소는 docker.io 이다. so 암것도 안적으면 기본값이 적용됨 (안적혀있다고 주소가 없는게 아니다!
프로젝트명 : 이미지 보관하는 폴더같은 개념, 도커허브같은 경우 계정명을 프로젝트 명으로 쓴다.
*도커가 직접 검증한 이미지는 오피셜 이미지로 라이브러리 라는 프로젝트에서 관리, 즉 계정입력 안하면 라이브러리가 기본으로 적용)
이미지태그: 이미지 버전 (빈값은 최신버전 의미)
즉 docker.io/library/nginx:latest 가 이때까지 사용한 nginx의 풀네임이다.
실습
docker pull 이미지명 //이미지 가져오기
docker tag 기존이미지명 추가할이미지명 //이미지 태그걸기
docker push 이미지명 //이미지 레포로 push
도커 허브에 push 위해서는 계정정보 필요!
docker login (이미지 레지스트리 인증 정보 생성)
docker logout (이미지 레지스트리 인증정보 삭제)
docker image rm 이미지명 (로컬 스토리지의 이미지 삭제)
% docker pull devwikirepo/simple-web:1.0
% docker tag devwikirepo/simple-web:1.0 mjkang4416/my-simple-web:1.0
% docker push mjkang4416/my-simple-web:1.0
% docker image rm devwikirepo/simple-web:1.0
% docker run -d -p 80:80 --name
docker rm -f my-simple-web my-simple-web ⇒ 컨테이너 삭제 명령어 한번에 가능
'배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 서비스 개요 (0) | 2025.03.17 |
---|---|
기본적인 배포 과정 (0) | 2025.03.14 |
도커 기본개념 (1) | 2025.03.07 |